“찰리와 초콜렛 공장”, 어디 착한 것만 갖구 신분상승 하겠어?


영화보면서 있는 그대로 즐기지 못하고 자꾸 서브 텍스트를 읽으려고 하는 것 참 나쁜 버릇이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타고난 criticism이 타고난 creativity보다 많은 걸 …… 범재의 한계지.

“황금 티켓”이라는 건 나에게 “신분 상승을 위한 기회”의 메타포로 느껴졌다. 그렇지 않고서야 동서고금, 애어른을 막론하고 겨우 초코렛 공장 한번 견학해 보자고 그 생난리를 치지는 않을 것 아닌가. 버루카 솔트의 공장에서 일하다가 황금티켓을 찾은 종업원이 스윽 그 티켓을 감추려다가 감독관에게 빼앗기는 장면은, 더욱 더 “황금 티켓”은 “신분상승”의 티켓이라는 혐의를 확실시 하게 한다.

영화는 신분상승의 황금티켓을 잡는 방법에 대해서 한가지 한가지 친절하게 예를 들어준다. 신분상승의 기회를 잡는 방법이란, 자본사회에 철저히 순응하며, 악착같이 재화를 소비하거나 (독일 뚱보 아우구스투스 사례), 자본력을 동원하거나 (땅콩공장 딸 버루카), 지독한 승부의식에 불타올라 끊임 없이 노력하거나 (챔피언쉽을 수십개 가진 바이올렛), 아니면 대단한 I.Q와 권모술수의 대가가 되는 일이다 (해킹으로 티켓을 얻은 마이크 티비).

이에 비하면 우리의 주인공 찰리 버켓은 순전히 운이 좋아서 티켓을 얻게된다. 근데, 이게 정당한 건가?

초콜렛 공장의 경우도 산업사회 역사를 압축한 혐의가 짙다. 윌리 웡카는 성공한 자본가이고 (물론 자본만 가지고 성공한 것은 아니고, 본인의 아이디어가 있으며, 사업가로써의 양심을 가지고 있고, 그의 Enterpreneurship은 존경할 만하다), 찰리의 할아버지는 1차 Sabotage 세대, 찰리의 아버지는 2차 Sabotage세대다. 움파룸파족은 제 3세계의 노동자이며, 자본가인 윌리 웡카는 단순히 코코아빈을 움파룸파족에게 제공하는 저렴한 임금을 지불하면서도 심지어 자신이 불쌍한 움파룸파족을 ‘구원’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움파룸파 족은 공장에 갖혀서 지내고 있다!)

자그맣고 충성스러운 움파룸파 족의 모습을 보면 그들이 제 3세계 노동자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지 않은가? (심지어 지하 수로에서의 노젓는 장면에서 윌리 웡카는 ‘저들은 앞을 볼 수 없지, 그저 명령하는 대로 저을 뿐’이라는 말까지 한다.) ‘후계자를 찾기 위해 아이들을 초콜렛 공장으로 초대했다’는 윌리 웡카는 왜!! 움파룸파 족에게는 공장을 물려주지 않는 걸까.

결국, 시키는 대로만 잘 하고, 매뉴얼대로만 살아가는 FM guy 찰리는 윌리 웡카에게 ‘초콜렛 공장 공동 경영권 및 상속권’을 손에 넣음으로써 신분상승에 성공한다. 자신을 해고한 자본가에게 끝까지 존경심과 경외심을 잃지 않았던 그의 할아버지는 건강을 다시 되찾고, 그의 착한 아버지는 자동화 설비와 함께 해고되었다가, 그 기계를 유지/보수하는 일로 재 취업됨으로써 ‘신기술로 인한 노동 소외는 다시 다른 노동의 필요로 채워진다’는 요지의 보수적 경제관념을 철저하게 증명까지 시켜준다.

정말? 정말 착하기만 하고, Creativity만 온 몸에 충만하면 신분 상승 할까? 정말? 그 사실 여부를 떠나서라도, 어차피 우리는 끝없는 승부의식으로 자신을 세상에 던지는 바이올렛이기도 했다가 , 때로는 자신의 보잘것 없는 지력(知力)을 이용해 보려고 하는 마이크이기도 했다가, 때로는 하릴없이 자본이 쏟아 놓은 소비재들만을 아무 생각 없이 소비해내며 자괴감에 빠져버리는 아우구스투수였다가 하지 않는가? (버루카 솔트는 예외니까 그냥 두자) 왜 이 아이들이 비난을 받아야하는가?

아이들을 벌 주는 방법자체도 상당히 아동학대적이기도 하지만, 왜 신분상승을 위해 악을 악을 쓰는 불쌍한 우리 중생들에 대해서 비난하는 이 영화의 전체적 태도도 참 학대적이다. 난 내가 바이올렛이라는 것이, 마이크라는 것이 그다지 부끄럽지 않다.

영진공 라이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테리 길리엄표 영화 딱 그만큼 …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은 알려진 바대로 지난 2008년 초에 요절한 호주 출신 배우 히스 레저의 마지막 출연작이기도 합니다.

같은 해 여름 개봉을 앞두고 있었던 <다크 나이트>(2008)는 촬영을 완전히 끝낸 상태였기 때문에 히스 레저의 사망 소식이 오히려 관객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일조를 한 측면이 없지 않았지만 한창 촬영이 진행 중이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은 그야말로 청천벽력 같은 악재를 맞게 된 경우였죠. 다행히 영화는 어떤 식으로 전개되더라도 그다지 어색하지 않을 판타지물이었던지라, 히스 레저가 남겨둔 촬영 분량을 조니 뎁, 주드 로, 콜린 패럴이 조금씩 맡아 출연하는 것으로 수정되면서 영화를 완성할 수 있게 되었지요. 하지만 아무래도 촬영 기간이 지연되는 등의 사정이 그리 쉽게 극복되기는 어려웠던 탓인지 기대했던 것보다 꽤 늦어져서 완성된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당대 최고의 남자배우들이 대거 출연하는 – 우연찮게도 네 명의 남자 배우들은 영국, 미국, 호주, 아일랜드 출신으로 골고루 포진되었습니다 – 블럭버스터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만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은 역시 테리 길리엄 감독의 작품입니다.

악마(톰 웨이츠)와의 거래로 천년의 세월 동안 영생을 누려온 파르나서스 박사(크리스토퍼 플러머)가 16살 생일을 맞은 딸 발렌티나(릴리 콜)를 지키기 위해 마지막 도전에 나서는 상상초월의 판타지 동화라고 할까요. 아날로그 취향이 팍팍 뭍어나는 세트 미술이 보기 좋고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해 등장 인물 각자의 욕망이 투영된 상상의 세계를 펼쳐보이는 장면들도 무척 보기가 좋았습니다.

시점이 크게 중요한 작품은 아닙니다만 의외로 동시대의 런던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점이 이색적이었고 그로 인해 생각지도 않았던 영국식 액센트를 실컷 들을 수 있었던 작품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테리 길리엄 감독의 영화가 내러티브 측면에서는 그다지 대중적이지 않은 화법을 구사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비평이나 해설의 도움 없이도 직관적으로 즐길 수 있는 영화를 기준점으로 삼았을 때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은 누군가의 해설이 있더라도 그닥 도움이 안될 정도로 플롯의 전개가 산만하고 때로는 몹시 지루하기까지 한 편입니다. 화제가 된 히스 레저와 세 명의 남자 배우들의 역할 보다는 파르나서스 박사가 성장한 딸을 보내고 싶지 않은 그 심정에 집중을 하는 편이 그나마 줄거리를 정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이것은 영화가 끝난 이후에나 가능할 뿐, 영화를 보는 도중에는 아무래도 히스 레저의 마지막 모습과 그를 대신한 다른 배우들이 행동으로 보여준 십시일반의 정신에만 집중하게 될 따름입니다.

히스 레저가 촬영한 분량은 어디까지였을까? 조니 뎁이다! 쥬드 로가 나왔다! 드디어 콜린 패럴이네! 아, 영화 끝이네.

테리 길리엄 감독이 악재를 극복하지 못하고 졸작을 내놓았다고 할 정도는 결코 아닙니다만 상상극장이라는 제목에 걸맞는 아주 환상적인 2시간을 선사하지는 못한다고 할까요.

기억을 더듬어 보면 히스 레저를 배우로서 발견을 하게 해준 작품이 바로 테리 길리엄 감독의 2005년작 <그림형제 : 마르바덴 숲의 전설>이었습니다. 히스 레저가 자신에게 부여된 기존 이미지에 매이지 않고 완전히 다른 캐릭터로 기꺼이 변신할 줄 아는 진정한 연기자의 길을 가기 위해 절치부심 끝에 선택한 것이 바로 테리 길리엄 감독의 영화였다고 할까요.

그 이후 <브로크백 마운틴>(2005)과 <아임 낫 데어>(2007), <다크 나이트>(2008)에서의 성공에 이어 다시 한번 테리 길리엄 감독 영화에 출연하기로 한 것은 그리 많은 출연료를 주기 힘든 사정을 감안할 때 보은의 의미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결국 완성된 영화는 역시나 히스 레저를 앞세워 제법 많은 상영관에 걸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만 그렇다고 뜨거운 관객 반응까지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겠냐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도 테리 길리엄 감독 영화의 오랜 팬들과 히스 레저의 마지막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는 관객들에게는 결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관람 기회가 될 것입니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