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와 인간의 존엄

 

우선 영상 두 개부터 보시죠 ^^

본 사람도 많겠지만. 위의 영상은 EBS의 지식채널-e 에 나온 ‘광우병’ 관련 영상이다.

난 광우병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1980년대의 ‘영국’을 이야기 하려 한다.

위의 영상들의 시초는 모두 영국의 1980년대다. 물론 ‘미친 공장’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된 소의 사료 이야기지만 그 배경에는 역시 ‘인간’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 있다.

영국은 1970년대 – 1973년과 1979년 – 오일쇼크를 두 번 겪었다. 그 중 두 번째 오일쇼크 덕에 정권이 ‘철의 여인’ 대처에게로 넘어갔다. 물론 이 배경에는 숙련 노동자들이 중산층으로 넘어가면서 ‘변절’하는 등의 여러가지 사건이 많지만 어쨌든 ‘경제 위기’ 덕분에 철저한 ‘반공주의자’이자 복지 따위 집어 치우고 닥치는대로 ‘민영화’를 시켜버린 대처가 수상이 되어버린 거다.

대처는 이 때부터 1990년 퇴임때까지. 12년을 영국의 수상으로서 온갖 ‘암울한 일’을 벌였다. 이후에 ‘토니 블레어’ 총리 시대때 대처가 벌여놓은 ‘경제 호황’을 누렸다고, 경제가 발전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처 덕분에 영국은 빈부 및 지역 격차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벌어졌고, 영국의 근본적인 경제 문제의 근본은 건드리지도 못 했다.

어떤가?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과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경제 발전 시키겠다고 국민을 현혹시켜 당선 되어 놓고 근본적인 문제는 건드리지도 않은 채 ‘닥치고 민영화’? 더불어 그 뿐인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 ‘사람’이라는 최대의 가치를 가볍게 다루는 이 ‘정권’에게 저런 과거의 영국이 걸었던 길이 뻔히 보이지 않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V for Vendetta의 원작인 만화는 저런 ‘대처리즘’의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동시대를 살던 만화가가 ‘대처’ 때문에 암울한 시대를 한탄하기 위해 만든 거다.

권위주의 정부.

시장 논리를 내세우며 기본적인 ‘인권’ 마저 ‘국가’라는 명목으로 가볍게 여기고, 무시해 버리는 정부.

더 할 말이 없다.

‘사람’을 위해, ‘더불어 같이 살아가야 할 사람’을 위해.
우리 조금만 더 ‘함께’ 생각하면 안 될까?

복지를 줄이고, 민영화를 시키고, 빈부 격차를 넓히고……

그렇게 살아남아서 아름다운 세상이라 말하고 싶은가?

약육강식의 세상이 ‘본능’이 아니라 저 빨간 털 원숭이처럼 ‘함께’ 살아야 하는 게 인간 아닌가?


영진공 함장

촛불을 들고 계신 그대에게 드리는 노래 …

 

지금 이 시간에도 변함 없이 거리에서, 가정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이 세상 곳곳에서 손과 마음에 촛불을 켜 자랑스럽게 들고 계시는 여러분들에게 노래 한 곡 올려드리고자 합니다.

준비한 곡은 Sting의 1993 년 앨범 “Ten Summoner’s Tales”에 실려있는 “It’s probably me”인데요, 영화 “리썰웨폰 3″와 “데몰리션맨”에 삽입되기도 하였던 그 곡입니다.

즐감하시고요, 우리 힘내자고요 ^.^



If the night turned cold and the stars looked down
And you hug yourself on the cold cold ground
You wake the morning in a stranger’s coat
No one would you see
You ask yourself, who’s watched for me
My only friend, who could it be
It’s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별님만이 그대를 내려다 보고 있는 차가운 밤,
차디 찬 땅 바닥에 누워 웅크리고 있는 당신,
모르는 이의 외투를 입은 채 아침에 눈을 뜨는 그대,
주변에 아무도 보이지 않을 때,
당신은 스스로에게 묻겠지, “누가 나를 돌봐준거지” 라고,
“내 유일한 친구여, 누구긴 누구겠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When your belly’s empty and the hunger’s so real
And you’re too proud to beg and too dumb to steal
You search the city for your only friend
No one would you see
You ask yourself, who could it be
A solitary voice to speak out and set me free
I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배 속이 텅비고, 배고픔으로 뼈가 저릴 때,
자존심 때문에 구걸도 못하고, 도둑질을 할 만큼 뻔뻔하지도 못한 당신,
유일한 친구를 찾아 온 도시를 헤매 다니겠지,
주변에 아무도 보이지 않을 때,
당신은 스스로에게 묻겠지,
“누굴까, 나를 자유롭게 해 줄 유일한 목소리”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You’re not the easiest person I ever got to know
And it’s hard for us both to let our feelings show
Some would say I should let you go your way
You’ll only make me cry
If there’s one guy, just one guy
Who’d lay down his life for you and die
It’s hard to say it
It’s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당신은 사실 편하게 사귈만한 사람이 아니야,
서로가 서로의 감정을 솔직하게 내보이기 힘든 사람이지,
다른 이들은 말하지, 당신의 길을 가게 내버려두라고,
그대는 나를 울리기만 하네,
그러나 만약, 단 한 사람,
당신을 위해 목숨을 걸고 또 죽어 줄 사람이 있다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When the world’s gone crazy and it makes no sense
There’s only one voice that comes to your defense
The jury’s out and your eyes search the room
And one friendly face is all you need to see
If there’s one guy, just one guy
Who’d lay down his life for you and die
It’s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I hate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세상이 미쳐가고, 상식이 통하지 않을 때,
당신을 변호해 줄 사람은 단 하나 뿐이네,
배심원들 앞에서 그대는 법정을 훑어보겠지,
그리고 당신은 오직 하나의 반가운 얼굴을 발견하게 될 거야,
만약 이 세상에, 단 한 사람,
당신을 위해 목숨을 걸고 또 죽어 줄 사람이 있다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그게 누군지 말하기 어렵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기 싫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영진공 이규훈


Candle

이러고도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건가 …


“5일 오후 서울시청앞 광장에서는 검은 계통의 얼룩무늬 군복과 모자를 쓴 ‘대한민국특수임무수행자회(이하 수행자회)’ 소속 회원 50여명이 나타났다. 이들은 시청앞 광장에 나무로 만든 모형 위패에 소형 태극기를 붙여 세우고 시청 정문에 ‘근조 대한민국 북파공작특수임무 전사자 신위’라는 검은색 천을 내걸었다.

시청앞 광장은 72시간 릴레이 촛불집회가 예고된 장소다. 이 때문에 촛불문화제 주최 측은 덕수궁 대한문 앞으로 장소를 급히 변경하는 등 혼란을 겪었다.”
 < 경향신문 기사 인용,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6051724382&code=940100 >


이게 뭔가?
현충일을 맞아 북파공작원 추모행사를 여는 것이 비난할 일은 아니다.
어떤 형태로든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리는 일은 존중받아야 할터이다.
그런만큼 이런 행사가 정치적으로 이용 당해서는 절대 안될 것이다.

그런데 오늘의 추모제는 어떠한가?


“촛불문화제가 열릴 예정인 서울광장을 선점해 추모제를 열고 있는 대한민국특수임무수행자회는 당초 이 추모제를 충혼탑이 있는 판교 금토리에서 열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훈단체들은 해마다 이 곳에서 현충일 추모제를 열어왔다.

이 단체는 오늘부터 사흘간 서울광장에서 위령제를 열 예정이다. 시민들은 이 단체가 행사장소를 갑자기 서울광장으로 바꾼 것에 대해 촛불문화제를 방해하기 위한 의도된 행동이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
<동 기사 인용>


고인들에 대해 예를 갖추고 그들의 존엄을 지키기위해 노력해야할 해당 단체가 오히려 정치적인 목적으로 고인과 유가족들을 이용한다는 의혹을 스스로 받게 만든 것이다.

이 단체의 임원들은 어제(6월4일) 청와대에서 대통령을 만났으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단체는 또 4일 보훈의 달을 맞아 이명박대통령 초청으로 회장을 비롯한 임원진 10여명이 청와대를 방문해 이 대통령과 면담했다. 서울시는 이 행사와 관련, 보훈단체쪽에 “5일 이후 사흘동안 서울광장 사용 계획이 없다 “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 기사 인용>

오늘 오후 갑자기 기존의 추모식 장소를 변경하여 공지를 올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서 그런 건지 몰라도, 현재 이 단체의 홈페이지에서 위 공지는 사라진 상황이다.

< 관련 기사: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19617&PAGE_CD=N0000&BLCK_NO=3&CMPT_CD=M0001&NEW_GB= >

상황이 이렇다보니, 영문을 모르고있던 일부 유가족들은 이들의 처사에 항의하기까지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 특수임무 수행자회가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북파 공작 업무를 수행하다 숨진 영령들의 위패를 설치한 데 대해 일부 유가족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유가족들은 회원 대다수가 북파 경험도 없는 특수임무 수행자회에서 전사자들의 위패를 설치하는 일은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비난했습니다.
< YTN 기사 인용, http://www.ytn.co.kr/_ln/0103_200806051713554722 >

대한민국특수임무자회 회원 여러분,
정말 그랬으리라고는 상상이 되지도 않지만,
만약 이번의 장소 변경에 어떤 불순한 의도라도 개입되어있다면 이는 두고두고 여러분들이 씻을래야 씻을 수 없는 죄악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대통령님,
공교롭게도 청와대 면담 직후 장소 변경이 황급히 이루어졌습니다.
국가를 위해 목숨을 희생한 이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될 만한 상황입니다.
이건 결코 대통령님께 좋게 작용할 수가 없습니다.

쉽고 바른 길을 놔두고 왜 굳이 반대편의 험한 길을 우격다짐으로 가려고 하는지, 참으로 답답하고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부디 진심을 담아 솔직하게 국민과 “소통”하세요.
다른 길은 없습니다.

영진공 이규훈

생각 좀 하고 사세요들 …

 

“촛불은 누구 돈으로 샀고, 누가 주도했는지 보고하라”
<조선일보 기사 인용,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31/2008053100076.html>

이명박 대통령이 위의 얘기를 했다가, 전 국민의 조롱거리가 되었던게 며칠 전의 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겨레 만평, 6월 2일자]

그런데, 이명박 대통령과 그 주변사람들은 학습능력이 있긴 한 걸까?
아주 줄줄이 나서고 있다.

“국민들은 전문가 얘기보다는 연예인의 얘기를 더 많이 믿는다.”
<뉴데일리 기사 인용, http://www.newdaily.co.kr/_ezarticle/?im=artView&artid=3058055000>

“보수가 똘똘 뭉쳐 무서운 맛 보여주자”
<오마이뉴스 기사 인용,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17763&PAGE_CD=14>

“실직하고 일자리가 없어 길거리를 헤매는 젊은이들과 서민, 어려운 중소기업 경영자들이 참가한 것 같다”
<세계일보 기사 인용, http://www.segye.com/Articles/News/Politics/Article.asp?aid=20080604002902&subctg1=&subctg2=>

게다가 “자성”을 하고 있다는 청와대는, 홈페이지에 이전에 미리 제작해 놓은 듯한 동영상을 그대로 올려놓고 있다.

청와대 2시간반 ‘자성’…“10년간 세상변화 몰랐다”
<한겨레신문 기사 인용, http://media.daum.net/politics/president/view.html?cateid=100012&newsid=20080604200108707&cp=hani>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성을 한다면서 뭘 본격적으로 해보겠다는 거냐능 …

영진공

경향, 한겨레 배후는 우리(영진공)다.

 

<영진공>은 이 땅에 상식을 되찾기위한 우리 시민들의 불복종운동에 동참하고자 아래와 같이 신문광고를 게재했습니다.

이뻐해 주세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겨레 신문 <2008. 5. 3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향신문 <2008. 6. 2.>



Candle

ik15.b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