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스드 오프”, 오렌지주스 협주곡의 기억


마치 어딘가 간질간질하긴 한데 정확히 어디가 물린 건지 모르겠어서 그 주변만 긁다가 마침내 ‘결정적 그 부분’을 찾아내고 시원하게 긁을 때처럼 ……

며칠 전 우연히 귀에 들려온 예전 어느 프로그램의 시그널 뮤직이 그랬다. 그 옛날 내가 어렸을 때나 그 프로그램이 문을 닫을 때도 시그널 뮤직은 계속 그 곡의 그 연주 버전이다. 따다다단 따다다단, 의 약간 빠른 박자로 시작하는.

그러나. 진정으로 내게 당장 다시 듣고픈 강렬한 욕망을 불러일으킨 음악은 이 곡과 비슷하되 이 곡이 아니다. 그리고 … 미치도록 가려운 느낌의 얼마 뒤, 드디어 생각해냈다. 『브래스드 오프』.

그랬다, 내 깊은 기억과 애정 속에 박혀버린 곡은, 어릴 적부터 무의식 중에 무수히 반복적으로 들어온 토요명화 시그널송의 버전이 아니라, 대학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한 20대 중반에 극장에서 본 영화에 나오는 브라스 버전이다. 영화 『브래스드 오프』에서 연주되는 아랑훼즈 협주곡 2악장.


 
『트레인스포팅』이 인기를 끌고서, “이완 맥그리거”를 마치 단독 주인공인 양 전면에 내세운 광고로 비로소 개봉될 수 있었던 바로 그 영화. 나도 그를 보기 위해 극장엘 갔다. 기대했던 것과 달리 수많은 주인공들 – 밴드 전원이 주인공이었다 – 중 한 명일 뿐이어서 약간의 배반감도 느꼈지만 이 영화의 음악은 좋았다. 테입으로 OST를 샀고 한동안 잘 들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난 그때 이 영화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이 영화와 제대로 교감하지도 못했던 것같다.

신자유주의의 광풍, 소위 대처리즘이라는 말까지 만들어낸 대처의 단호한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그 일환으로 영국에서 일어난 연달은 광산 폐쇄, 극심한 실업, 노동자들의 절망 … 같은 걸 알기엔 나는 그때 너무 정치에 관심이 없었다. 이건 나뿐만이 아니었을 거라 생각한다. 몇 년 후, 전 세계를 완전히 뒤집어놓은 『풀 몬티』가 나왔고, 이 영화가 유일하게 성공하지 못한 나라가 바로 한국이었다. 아마도, 영국의 광산노동자의 아픔이 묻어있는 영화가 한국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어필하기 시작한 건 『빌리 엘리어트』 때부터가 아니었나 생각한다. 그때 한국은 IMF를 겪고난 후였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의외로 나처럼 이 영화를 또렷이 기억하고 아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같다. 아랑훼즈 협주곡 2악장을 연주하는 바로 그 장면이 심지어 자막도 있는 동영상 파일로 올라와 있다. 플레이를 해보니 세상에, 이건 눈물없인 볼 수 없는 장면이 아닌가.

외골수 지휘자 피터 포슬스웨이트가 단원들에게 ‘오렌지주스 협주곡’이라 소개하는 이 곡, 경영진의 한 명으로 실사 조사를 위해 파견온 여주인공이 같이 연주를 하기 위해 오디션을 받으며 협연하면서 음악이 계속 흐르는 가운데, 이들의 연습장면은 어느새 이 광산노동자들의 필사적인 꿈과 기대와 희망과 절망과 눈물과 웃음을 좌우할 경영진과 노조 간 마라톤 협상의 장면, 협상 결과를 취재하며 플래시를 터뜨리는 기자들과 경영진의 장면으로 바뀐다. 그리고 다시, 자신들이 연주하고 있는 바로 그 음악에 스스로 푹 빠져있는 지휘자와 악대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역시나 내게 아랑훼즈 협주곡은, 탄광 노동자들이 절망과 꿈과 희망과 삶의 모든 것을 각각의 브라스 악기에 걸고 연주한 『브래스드 오프』의 영화음악 버전으로 기억될 것이다. 이 장면과 피터 포슬스웨이트의 병실 밖에서 연주한 대니 보이 장면 – 절망에 악기를 팔아먹은 “이완 맥그리거”는 휘파람으로 자신의 파트 연주를 대신한다 – 이, 심지어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는, 로열 알버트 홀에서 연주되는 결선 연주 장면과 음악보다도 더욱 기억에 오래 남을 것이다.



영진공 노바리

경제를 살리려면 제대로 살려라


 


경제를 살리겠단다.  그런데 누가?  물론 주어는 없다.


에혀, 말장난도 이젠 재미읎다.  그냥 담백하게 이야기해봅시다.


 


현 행정부가 넉 달여에 걸쳐 펼쳐 보인 경제정책의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지출의 삭감과 세금인하, 국영기업의 민영화, 노동조합의 활동규제, 통화정책에 입각한 인플레이션 억제, 기업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빅뱅(big bang) 등을 통한 금융시장의 활성화, 작은 정부의 실현, 산학협동(
‘)” onmouseout=Chartip_off()>學

‘)” onmouseout=Chartip_off()>同
) 중심의 경쟁우선 교육정책”




이건 누차 얘기한 거지만 결국
“대처리즘”과 “레이거노믹스”의 복사판입니다.
* [대처리즘]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q=&p=1&masterno=725702&contentno=725702 
* [레이거노믹스]
http://ko.wikipedia.org/wiki/%EB%A0%88%EC%9D%B4%EA%B1%B0%EB%85%B8%EB%AF%B9%EC%8A%A4



, 과연 이런 정책이 현 시기의 우리 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요?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그림 1.>

ik37.bmp


 


맨 위에 있는 컵에 주전자로 물을 넘치도록 부으면 그 물은 아래에 있는 컵으로 흘러 들어갈 것입니다.  그리고 그 물은 다시 그 아래에 있는 컵으로 들어갈 것이고 …




이게 현 행정부의 경제살리기 요체입니다.


될 놈을 대차게 밀어주자.  그러면 그 놈이 먹다먹다 남는 게 넘쳐나서 저절로 각 경제주체 및 단위에 골고루 흘러 들어갈 것이다.


 


그럴 듯 해 보입니다.


그런데 그러기 위해서는 선행조건이 있습니다.


모든 경제주체 및 단위가 hierarchy 구조로 구성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영어로 쓰니까 그럴 듯 해 보이지만 실제 이런 구조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로 피라미드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공급되는 물과 물줄기의 흐름이 의도대로 잘 유지된다면 무척 효율적입니다.  그런데 다 아시다시피, 이 구조는 왜곡되기도 쉽습니다.

맨 위의 컵에 호스를 달아서 다른 쪽으로 물줄기를 빼돌린다든지, 자기가 원하는 컵들에만 물을 댄다든지 하는 꼼수 말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종속관계에 있는 아래 컵들은 물이 내려오기만을 기다리며 마냥 맨 위의 컵을 떠받들고 있어야합니다.

재벌 중심 경제에서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저런 탑이 여러개 존재한다고 할 때, 주전자가 모든 탑에 골고루 물을 주지 않고 선택적으로 골라서 줄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선택받지 못한 탑의 컵들은 모두 마른채로 있어야 합니다.

관치 경제에서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자, 그런데 현재 우리의 경제가 저런 구조로 이루어져 있나요?  아니죠.

IMF 구제금융 사태를 통해 우리가 얻은 교훈이 바로 재벌+관치 중심 경제는 나라를 망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그간, 실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얽히고 설켜있는 기업집단을 정비 또는 해체하고 관치를 최소화 및 공정화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그리고 자본시장도 개방하고요.

아래 그림과 같은 구조를 만들고자 하는 겁니다.

<그림 2.>
 ik38.bmp

 자, 이 상황에서 커다란 컵에다 물을 계속 부어봅시다.

뭐, 결과는 뻔합니다.
큰 컵이 다 차면 물은 넘치고 그 물은 바닥에 버려지겠죠.

물론 큰 컵에 물이 다 차면 주전자가 움직여 다른 컵들을 채우면 된다고 보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은 정부 규제 폐지, 민간 자율성 강화, 작은 정부 만들기입니다.
즉, 주전자를 움직이지 않겠다는 것이죠.

주전자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물을 고루 분배할 수 있을 까요?

다시 <그림 1.>처럼 피라미드 구조를 만드는 방법이 있겠습니다만, 그건 이전에 이미 부작용이 너무 심하다는 게 증명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굳이 피라미드 구조가 아니어도 주전자가 움직이지 않으면서 물이 고루 분배되도록 하는 장치를 만들어야겠죠.
아래의 그림처럼 …

<그림 3.>

hk28.bmp
큰 컵에 물이 차 올라 넘칠 정도가 되면 호스를 통해 작은 컵들로 물줄기가 흐르게 만드는 겁니다.

그런데 저런 장치를 큰 컵이 자율적으로 갖추기를 바라기는 힘들테니, 제도적 의무적으로 갖추게 해야겠죠.  그리고 그건 민간과 행정, 입법, 사법부가 함께 노력하여 작동시켜야 할 것이고요.

자, 그럼 이 글의 시작에서 살펴본 현 행정부의 경제정책은 이런 방향으로 나갈 수 있을까요?
스크롤해서 다시 올리기 귀찮으실테니 그냥 다시 써 봅니다.

“공공지출의 삭감과 세금인하, 국영기업의 민영화, 노동조합의 활동규제, 통화정책에 입각한 인플레이션 억제, 기업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빅뱅(big bang) 등을 통한 금융시장의 활성화, 작은 정부의 실현, 산학협동(
‘)” onmouseout=Chartip_off()>學

‘)” onmouseout=Chartip_off()>同
) 중심의 경쟁우선 교육정책”

아무리봐도 그럴 것 같지 않습니다.

현 행정부가 정말로 경제를 살리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우리의 경제구조부터 다시 파악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의 모습과 추구하고자 하는 모델 그리고 로드맵을 잘 도출하여 제시하고 이를 “소통”을 통해 평가받은 뒤 그에 기반하여 정책을 마련, 집행 하시라는 말씀입니다.

30 여년 전의 영국과 미국에서 실시하였던 그리고 그에 대한 평가가 크게 엇갈리고 있는 정책들을 무작정 밀어붙이려 하지 마시란 말씀입니다.

불도저는 아무 생각 없이 닥치는대로 마구 갈아엎으라고 만들어진 기계가 아닙니다.  면밀한 검토에 의해 도출된 도면에 따라 정해진 구역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리하라고 만들어놓은 기계입니다.

쫌 제대로 하시란 말입니다.


영진공 이규훈

※ 그림은 도대체 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감사하다능~ ^^

브이 포 벤데타, V For Victory, 승리의 V를 위해

 

2008년의 대한민국에 이 영화가 과연 무슨 이야기를 전할 수 있을까?

공포와 증오

공포는 복종을 낳고 복종은 방조로 이어진다.
하지만 복종과 방조의 아래 어디쯤 어두운 곳에서는 증오가 함께 자란다.
공포의 원천에 대한 증오와 나에 대한 증오 그리고 공포 속에서 안주하는 다른 이들에 대한 증오가 뒤섞여,
정체와 방향을 정하지 못한 채 질기게 자라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증오는 어두운 곳에서 자라는지라 빛을 모른다.
빛을 모르니 무엇이 무엇인지 분간할 줄도 모른다.
다만 그 증오는 터져버릴 때까지 차곡차곡 쌓이기만 할 뿐이다.

V는 증오이고 복수이다.
V는 눈 먼 증오이고 복수이다.

사랑과 믿음

증오는 파괴를 부른다.
되 갚아 줘야 하기에 부셔버려야 하는 것이다.
공포의 원천과는 공존할 수 없기에 뿌리까지 다 없애버려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포의 원천이 사라지면 증오도 함께 없어져야 한다.
증오가 새로운 세상을 대체할 수는 없다.
새로운 세상은 사랑과 믿음으로 새로 만들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공포와 방조에 짓눌려 감겨있던 눈꺼풀을 힘겹게 들어올려,
나와 남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다시 싹 틔워,
너와 내가 처음부터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Evey는 사랑이고 믿음이다.
Evey는 힘겹고 어렵게 사랑과 믿음에 눈을 떠야 할 당신과 나이다.

V가 처음 모습을 보인 건 1981년 영국에서이다.

그 시절 영국은 1979년 총선거에서 보수당이 승리하면서 수상의 자리에 오른 마거릿 대처가 혹독한 밀어붙이기로 사회 전반을 휘몰아가던 중이었다.

그녀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엄격한 도덕과 질서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경제를 살린다는 명분으로 누진세를 폐지하여 긴축재정을 편성하면서 복지예산을 대폭 삭감하였고 거의 모든 국영기업을 민영화하였다.

이러한 정책 실행에 따른 사회적 반발이 커지자 그녀는 1982년에 느닷없이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 전쟁을 유발하여 국면 전환용으로 삼기도 하였다.

또한 그녀는 노동조합과 끊임없이 대립하여 무력화 시켜나갔는데, 그녀의 재임기간 중 영국 내 최대 노조였던 석탄노조는 거의 해체에 이를 정도로 무참히 깨졌다.

경제부흥을 기치로 집권 11년 동안 공공분야에 대한 국고지원 대폭 삭감, 복지예산 대폭 축소, 공기업 민영화, 노조 무력화 등을 몰아붙이며 “철의 여인”이라 불렸던 그녀는 1990년 유럽통합에 반대하는 그녀에 대한 보수당 내의 강력한 반발로 물러나게 된다.

V는 대처의 집권 초기에 “대처리즘”의 음산하고 잔인한 내음을 감지한 Alan Moore와 Dave Lloyd의 만화를 통해 나타났다. 그리고 7년 동안 10권 분량의 작품 속에서 V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믿음이 공포와 증오로 대체된 사회에 대한 복수(Vendetta: 복수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를 감행하였다.

V의 출현 배경에 대해 Alan Moore는 1988년 캐나다 판 “V for Vendetta”의 서문 속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It’s 1988 now. Margaret Thatcher is entering her third term of office and talking confidently of an unbroken Conservative leadership well into the next century. My Youngest daughter is seven and the tabloid press are circulating the idea of concentration camps for person with AIDS. The new riot police wear black visors, as do their horses, and their vans have rotating video cameras mounted on top. The government has expressed a desire to eradicate homosexuality, even as an abstract concept, and one can only speculate as to which minority will be the next legislated against. I’m thinking of taking my family and getting out of this country soon, sometime over the next couple of years. It’s cold and it’s mean-spirited and I don’t like it here anymore.”

“이제 1988년입니다. 마가릿 대처는 수상 3선 임기에 들어섰고 깨어지지 않을 보수의 리더십은 다음 세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신념에 차서 말하고 있습니다. 나의 막내 딸은 일곱 살이 되었고 타블로이드 신문들은 에이즈 환자 격리수용소에 대한 아이디어를 기사화하고 있습니다. 새로 조직된 시위진압 경찰과 그들의 말은 검은 투구를 쓰게 되었고 그들의 차량 꼭대기에는 회전하는 비디오 카메라가 달리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비록 추상적 개념이긴 해도 동성애자를 근절시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으며 다음 표적은 아마도 소수민족이 될 듯합니다. 나는 이, 삼 년 내에 우리 가족을 데리고 이 나라를 떠나려 생각 중입니다. 이 곳은 춥고 잔인한 기운이 가득하여 더 이상은 있고 싶지 않습니다.”

이런 Alan Moore의 소회는 Evey가 살아가는 세상만큼이나 큰 공포와 증오가 짓누르고 있던 1980년대 당시 한국의 현실에 대입하여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듯하다.

그리고 지금은 2008년. V는 1981년의 우리가 아닌 2008년의 우리에게 무슨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

1981년의 우리에게 V의 메시지가 공포를 이겨내는 증오의 힘과 공포의 원천에 대한 복수를 전하는 거라면, 2008년의 우리에게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사랑을 바탕으로 한 믿음을 전하지 않을까.

암울했던 시절 최소한의 인간성마저 부정되던 공포를 이겨내고 증오의 힘을 모아 원천을 타격했던 동력이 Vendetta(복수)였다면, 이제 그 V는 사랑과 믿음을 원천으로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내는 승리의 Victory가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브이 포 벤데타의 엔딩, 음악은 차이코프스키의 1812년 서곡>


영진공 이규훈


잡담.
1. 영화의 도입부에 나오는 Guy Fawkes는 실존인물이다. V가 쓰고있는 가면도 Guy Fawkes 가면이다. 그는 카톨릭 프로테스탄트를 억압하는 제임스 1세를 암살하고자 1605년 11월 5일에 의회 건물 지하에 폭약을 설치하고 도화선에 불을 붙이려 했으나 일당 중 밀고자의 밀고에 의해 현장에서 붙잡혔고 얼마 후 처형되었다.

2. 원작 속 Norsefire 집단의 구호는 “Strength Through Purity, Purity Thorough Faith(국가의 힘은 순결성에서, 순결성은 종교적 신념에서)” 이지만 영화에서는 “Strength Through Unity, Unity Through Faith(국가의 힘은 단합을 통해, 단합은 종교적 신념을 통해)”로 나온다.

이명박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꼭 보아야 할 몇 편의 영화들

 

얼마 전에 영화 블로그 “네오이마주”에 취임 100일 대통령에게 권하는 몇 편의 영화들이라는 기사가 실린 적이 있다.

이 글의 취지와 그 권고사항에 적극 공감하는 바이며,
이 대통령은 잠도 안 자는 새벽에 꼭 한 편 씩 챙겨서 보아주길 바라는 바이다.

각설하고, “영진공”에서는 이명박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우리 시민들에게 몇 편의 영화를 추천하고자 한다.
 
그 전에 하나 읽어볼 게 있다.

“①복지를 위한 공공지출의 삭감과 세금인하, ②국영기업의 민영화, ③노동조합의 활동규제, ④철저한 통화정책에 입각한 인플레이션 억제, ⑤기업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⑥외환관리의 전폐와 빅뱅(big bang) 등을 통한 금융시장의 활성화 등”
“작은 정부의 실현, 산학협동(
‘)” onmouseout=Chartip_off()>學

‘)” onmouseout=Chartip_off()>同
) 중심의 교육정책”

이거 많이 듣는 거다.  이명박이냐고?  아니다.
따라쟁이 대통령이 롤모델로 삼고있는 대처와 레이건의 정책들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 대통령이 실시하고자 하는 이 정책들이 30여년 전에 이미 실행되어 어떤 결과를 낳고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실례를 보면서 알고 배울 수가 있다.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여담이지만, 대처는 재임 중 하루 다섯 시간만 수면하며 업무에 임했다고 한다 … 이것도 따라하는 거냐긔 … >_<

그때 영국에선 어떤 일이 벌어진 걸까? 그리고 미국에선 …
경제부흥? 선진국으로의 재도약? 공공서비스 개선? 감세? 소득증대? 실업감소????????

일단 신나는 음악 하나 듣고 시작하자.


<영화 “브라스트 오프” 中 윌리암 텔 서곡> 

이 영화는 1997년 개봉작으로,
대처리즘으로 인해 노조가 와해되고 아예 탄광이 폐쇄된 지역 탄광노동자들의 생활상을,
실화를 바탕으로 그려낸 <브라스트 오프 (Brassed Off)>라는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은 한 물 갔는지 어떤지 모르지만 암튼 꽃미남 훈남 이완 맥그리거가 주연으로 나오며 마크 허먼이 감독한 영화이다.
꼭 챙겨보시길 권한다.

요즘 공기업 민영화에 대해서 말들이 많다.
그런데 한 가지 심각한 의문점은 “공기업 민영화 = 경제부흥”이라는 공식이 어떻게 성립한다는 것일까?
공기업을 팔아서 국가재정을 확보하여 이를 공적인 사업에 투자하여 경제를 살리고 고용을 늘리겠다는데, 도대체 이건 무슨 해괴한 논리인가?
공기업을 팔아서 돈을 만들어 다시 공적사업을 하겠다는 얘긴데 … 이 무신 …
그리고 한국 공기업 매출이 한 해에 얼만지 계산은 해 보았는가?
기껏 몇 십조 벌겠다고 매년 몇 십조를 그 기업들에 국민이 갖다바치는 건 계산 안하냐?

공기업 개혁, 필요하고 절실하다.
그런데 빈대를 잡으려고 집을 태울 것인가?
함께 생각해 볼 일이다.

*참고
[[공기업 개혁 해외 사례] ①영국]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22&cm=%B0%F8%B1%E2%BE%F7&year=2008&no=333631&selFlag=sc&relatedcode=  (매일경제 인용)
[공기업 개혁과 민영화 구분부터 하라]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40080604105951&s_menu=%EC%84%B8%EA%B3%84 (프레시안 인용)

다음으로 추천하는 영화는 다들 잘 아시는 2000년도 개봉작 “빌리 엘리어트 (Billy Elliot)”이다.

영화에서 빌리의 아버지와 형은 영국의 탄광노동자인데, 이들은 노동자의 권익을 보장받기 위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파업은 노동자 내부의 분열과 대체근로자(미국에서는 strike breaker, 즉 파업파괴자라고도 부른다.)의 투입으로 위기를 맞는데, 이 와중에서 빌리는 발레에 대한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이들 보셨겠지만, 자꾸 봐도 좋은 영화이다.
감독은 스테판 달드리, 제이미 벨이 빌리 엘리어트 역을 맡았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의 한 장면>

1982년에 나온 영화 <더 월 (The Wall)>은 한 편의 거대한 뮤직비디오랄 수 있다.  락 그룹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1979년 앨범 <The Wall>을 그대로 영화로 옮겨놓은 독특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자본과 경쟁에 얽매이고 치여 돌아가는 사회 속에서 인간성이 어떻게 소외되고 파괴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걸작 뮤직영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ink Floyd, Another Brick In The Wall (1979)>

감독은 알란 파커이고 각본은 그룹의 멤버인 로저 워터스가 맡았으며 음악은 당근 핑크 플로이드이다. ^^

아래의 클립 역시 대처 시절의 영국 노동자의 삶을 그린 영화 중 한 장면인데, 사실 이 장면은 여러 광고에서 패로디 하기도 하였다.

 


<영화 “풀 몬티(Full Monty)”의 한 장면>

이 영화는 1997년 개봉작인 <풀 몬티 (Full Monty)>이다.
감원조치로 철강공장에서 해고된 이들이 생활방편으로 선택한 것은 … … 스트립쇼!
영화의 제목 풀 몬티는 홀랑 벗는다는 뜻이라능 …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피터 카타니오 감독에 로버트 칼라일 주연 작품이다.

<식코(Sicko)>, <화씨 9/11(Farenheit 9/11)>의 감독으로 유명한 도큐멘타리 영화제작자인 마이클 무어(Michael Moore).  그의 데뷔작은 1989년의 <로저와 나(Roger&Me)>이다.

미시간주 플린트에서 대학신문의 편집자로 일하던 청년 마이클 무어는 고향에 있던 제너럴 모터즈(GM) 자동차가 공장을 폐쇄하면서 3만명이나 되는 고향 사람들이 직장을 잃게 되자 당시 GM의 사장인 로저 스미스(Roger Smith)에게 해명을 듣겠다고 길을 나선다.
이 영화는 그 여정과 에피소드를 담고있다.


<영화 “로저와 나(Roger & Me)”의 예고편.  여기에도 윌리암 텔 서곡이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미디 영화 한 편을 소개할텐데,
그전에 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했던 대규모 정전사태에 대해 공부하고 넘어가자.

* 참고
[캘리포니아 정전사태]
http://www.changbi.com/webzine/content.asp?pID=204 (창비 인용)
[한전 노사 ‘미 정전사태’ 해몽 따로따로]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_donga/news277/wd277dd020.html
(주간동아 인용)

1983년 개봉작 “에디 머피의 대역전(Trading Places)”은 국내 제목 그대로 에디 머피가 주연을 맡은 영화이다.
이 영화 무지 웃기고 재밌다.

그런데 웃다보면 ㅆ ㅂ 욕이 저절로 나온다.
자본가들이 그리고 졸부들이 소위 서민을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지, 또 어떤 가치를 매기고 있는지 신랄하게 꼬집고 코후비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독은 존 랜디스이고 에디 머피 뿐만 아니라 댄 애크로이드, 제이미 리 커티스, 제임스 벨루시, 덴홀름 엘리어트 등 초호화 캐스팅이다.

준비한 클립은 동 영화의 한 장면인데, 자막은 없지만 잠깐 맛만 보시기 바란다.

자, 여기까지이다.

일하랴, 교제하랴, 가족 챙기랴, 배우랴, 놀랴, 바쁘고 바쁜 우리들에게,
나라 걱정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떠넘기고 있는 현 집권세력 때문에 잠 못 이루는 우리 국민들,

그리고 촛불의 행진에 동참하느라, 또는 함께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를 생방송으로 지켜보느라 뜬 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우리 국민들이,

위에 추천한 영화들을 보며 잠깐이라도 마음의 위로와 휴식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면,
우리 영진공은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다.

그럼, Good night and good luck~


영진공 이규훈

권위와 인간의 존엄

 

우선 영상 두 개부터 보시죠 ^^

본 사람도 많겠지만. 위의 영상은 EBS의 지식채널-e 에 나온 ‘광우병’ 관련 영상이다.

난 광우병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1980년대의 ‘영국’을 이야기 하려 한다.

위의 영상들의 시초는 모두 영국의 1980년대다. 물론 ‘미친 공장’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된 소의 사료 이야기지만 그 배경에는 역시 ‘인간’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 있다.

영국은 1970년대 – 1973년과 1979년 – 오일쇼크를 두 번 겪었다. 그 중 두 번째 오일쇼크 덕에 정권이 ‘철의 여인’ 대처에게로 넘어갔다. 물론 이 배경에는 숙련 노동자들이 중산층으로 넘어가면서 ‘변절’하는 등의 여러가지 사건이 많지만 어쨌든 ‘경제 위기’ 덕분에 철저한 ‘반공주의자’이자 복지 따위 집어 치우고 닥치는대로 ‘민영화’를 시켜버린 대처가 수상이 되어버린 거다.

대처는 이 때부터 1990년 퇴임때까지. 12년을 영국의 수상으로서 온갖 ‘암울한 일’을 벌였다. 이후에 ‘토니 블레어’ 총리 시대때 대처가 벌여놓은 ‘경제 호황’을 누렸다고, 경제가 발전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처 덕분에 영국은 빈부 및 지역 격차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벌어졌고, 영국의 근본적인 경제 문제의 근본은 건드리지도 못 했다.

어떤가?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과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경제 발전 시키겠다고 국민을 현혹시켜 당선 되어 놓고 근본적인 문제는 건드리지도 않은 채 ‘닥치고 민영화’? 더불어 그 뿐인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 ‘사람’이라는 최대의 가치를 가볍게 다루는 이 ‘정권’에게 저런 과거의 영국이 걸었던 길이 뻔히 보이지 않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V for Vendetta의 원작인 만화는 저런 ‘대처리즘’의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동시대를 살던 만화가가 ‘대처’ 때문에 암울한 시대를 한탄하기 위해 만든 거다.

권위주의 정부.

시장 논리를 내세우며 기본적인 ‘인권’ 마저 ‘국가’라는 명목으로 가볍게 여기고, 무시해 버리는 정부.

더 할 말이 없다.

‘사람’을 위해, ‘더불어 같이 살아가야 할 사람’을 위해.
우리 조금만 더 ‘함께’ 생각하면 안 될까?

복지를 줄이고, 민영화를 시키고, 빈부 격차를 넓히고……

그렇게 살아남아서 아름다운 세상이라 말하고 싶은가?

약육강식의 세상이 ‘본능’이 아니라 저 빨간 털 원숭이처럼 ‘함께’ 살아야 하는 게 인간 아닌가?


영진공 함장